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과 세금/부동산 정보와 뉴스

아파트 사전점검 꼭 알아두어야 할것들

by 유슬기 2024. 1. 27.
반응형

오늘은 아파트 사전점검 가기 전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에 대해서 포스팅 할게요. 

사전점검이란 무엇인지, 사전점검 준비물과 점검 가서 꼭 살펴봐야할 구체적인 내용들입니다. 

 

[사전점검이란?]

아파트 준공이 완료되면 입주자들이 당첨된 주택에 대해서 하자 및 결함등을 살펴보고 보수할 것이 있는지 체크하는 과정입니다. 

 

입주하기 45일 전까지 2일 이상 실시해야 하는데, 보통 입주하기 한달 전 쯤에 입주예정자에게 사전방문 초대장을 보냅니다.

 

  • 방문한 입주예정자에게 사전방문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 입주예정자가 작성한 체크리스트는 사업자에게 제출해서 접수하고
  • 사업자는 하자 등에 대해서 보수 계획 등을 시,군,구청장에게 제출하게 되어 있어요.

 

청약에 당첨된 기쁨 이후, 사전점검을 하는 날은 설레는 날이기도 하죠. 

하지만, 하자가 너무 많이 발견되면 우울모드가 될 수도 있어요.

 

입주 후에도 도배·타일(2년), 전기 시설(3년), 방수 (5년)에 대한 사후관리가 있지만

입주 후에 보수 및 처리하려면 번거로움과 기간이 소요되고

입주전 짜~잔 처리 해놓는게 좋으니

사전점검때 꼼꼼하게 체크하는 것은 필수 중의 필수입니다. 

 

만약, 본인이 잘 하지 못할 것 같으면 잘 아는 지인에게 대리 시켜도 되고,

최근에는 전문적인 대행업체에 맡기기도 합니다.

대행업체 비용은 보통 20~50만 원 사이입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사전점검 해볼까요? 

 

[사전점검 준비물]

사업체에서 사전점검 키트를 제공하는데, 미리 사업체나 입주자 커뮤니티에서 확인해보고 없는것만 챙겨도 됩니다.

(사업체 제공 키트에 보통 네임펜, 스티커, 수평계, 줄자, 장갑, 물티슈 등이 있어요)

 

하나씩 준비물 나열해볼게요. 

  1. 신분증과 사전점검 초대장 
  2. 체크리스트 : 사업체에서 제공
  3. 네임펜, 스티커, 포스트잇 : 하자 부분 표시. 스티커 여분 넉넉히
  4. 수평계 : 수평이 맞는지 확인
  5. 줄자 : 도면과 같은 간격 확인 및 가구 배치를 위해서 
  6. 충전기 : 콘센트 전원 확인
  7. 고무망치 : 타일이나 마루 빈공간 찾아내기
  8. 마스크 : 신축이라서 먼지 많음. 필수라고 생각^^
  9. 그 외 개인 물품 : 4시간 이상 걸리거나 이틀씩 할 경우 생수나 간식, 높은 곳 확인 위한 의자 등....

 

 [부분별 꼼꼼히 점검 시작]

가족, 지인 등과 미리 구역을 정해서 한 뒤 서로 크로스 체크 하는 것도 좋습니다. 

 

도면을 미리 확인하는 것도 중요해요. 

[출처 : 네이버부동산의 평면도]

 

위 평면도는 예시로 든건데요. 

분양 카달로그의 평면도와 실제 입주할 집을 비교하면서 체크하면 더 효율적이겠죠? 

 

현 관

  1. 문 열고 닫히는게 원활한지
  2. 현관문의 내부와 외부 스크래치 확인
  3. 도어락과 인터폰 기능 작동 잘 되는지
  4. 현관 바닥재 파손 유무나 흔적
  5. 신발장 선반의 기울기와 스크래치 등 상태

욕 실

: 하자가 많이 발생하는 곳 중 하나이니 더욱 꼼꼼하게 점검필요

  1. 변기와 타일의 도기 상태 확인: 깨진 곳 있는지 도기는 계약 물품 맞는지
  2. 샤워기나 바가지로 욕실 바닥에 물을 틀어 보내서 하수구의 물빠짐 확인
  3. 욕실 바닥의 줄눈 시공 확인 ;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크랙 및 누수 발생
  4. 환풍기 작동 
  5. 양변기 물내림 상태

거실과 침실

  1. 샷시의 상태, 수평 및 흔들림 없는지 확인
  2. 샷시 실리콘 마감 상태
  3. 샷시 문 잠금 장치 
  4. 거실 및 침실 바닥의 수평과 하자 및 계약 물품인지 확인
  5. 벽지에 오염물질 없는지, 마감 깔끔한지
  6. 옵션 가구나 서랍장도 하나씩 열어보고 스크래치 등 하자 표시

주 방

: 욕실과 마찬가지로 하자가 꽤 나오는 곳이니 더욱 꼼꼼히~

  1. 상하부장 모두 열어 보고 고정 상태 확인
  2. 서랍장 모두 열어보고 상태확인
  3. 벽면의 타일 상태 확인
  4. 가스레인지, 환풍기 작동
  5. 씽크대 깨짐 및 계약물품인지 확인

그 외

내부로 들어가면, 일단 창문을 모두 열어서 환기도를 알아보고 창문의 잠금 장치가 잘 작동되는지 꼭 확인

(가장 나중에 실시해도 됨)

모든 문의 잠금 장치 확인

충전기로 콘센트 확인 

조명 장치 상태 확인 등

 


새로 장만한 내 집 꼼꼼하게 점검해서 피해가 생기지 않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