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부터 신생아특례 대출이 시행됩니다.
신생아특례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은 물론, 전세대출도 가능한데 대출을 받기 위한 자격과 소득, 주택 가격, 금리 등 조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특례 주택담보대출]
1. 지원 자격 : 대출신청일 기준으로 2년 이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
▷ 2023년 1월 1일 출생아부터 적용 가능합니다.
▷ 1주택자도 담보대출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존 담보대출을 대환하는 용도로만 신청할 수 있어요.
기존에 받고 있는 담보대출보다 신생아특례 대출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될 경우 신청하면 됩니다.
2. 소득 조건 : 부부합산 연소득 1억 3000만 원 이하
3. 순자산 조건 : 부부합산 4억 6900만 원 이하
4. 대상주택
1) 주택가격 : 9억 이하
2) 주택 면적 : 전용면적 85㎡ 이하 (읍면 지역은 100㎡ 이하)
▷ 전용면적 기준이라서, 공급면적으로는 보통 32평 (38평내외) 내외입니다.
5. 대출 한도 : 최대 5억 원까지 가능
▷ LTV : 일반은 70%까지, 생애최초는 80%까지 가능
▷ DTI : 60%까지 가능
6. 대출 기간
: 만기 10년, 15년, 20년, 30년으로 되어 있으며
1년간 이자만 낸 후 원리금 상환 시작해도 되고,
거기치간 없이 바로 원리금 상환 가능합니다.
7. 대출 금리
: 다른 대출에 비해서 가장 큰 장점이 바로 이자입니다.
▷ 5년간은 소득과 만기 기간에 따라서 특례금리를 적용
1) 연소득 8500만 원 이하는 1.6~2.7%
2) 연소득 8500만 원 초과는 2.7~3.3%
▷ 5년이 지나면 특례금리가 종료되며, 최소 0.55%의 금리가 가산됩니다.
연소득 8500만 원이 초과되면 시중은행 금리를 따르는데, 최저를 적용해요.
※ 5년 이후에는 금리가 올라가기 때문에, 5년 상환금액 후 남은 금액에 대한 원리금 부담을 감당할 만한지도 따져 보는게 좋겠습니다.
8. 우대금리 : 5년간 특례금리가 종료된 후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출산우대 대출이다보니, 출산자녀에 따라서 금리가 좌우되네요.
1) 신청 자격은 2년 이내 출산 가정이지만, 기존 2년 초과된 자녀가 있으면 1명당 0.1% 우대 금리 해줍니다.
2) 신청 이후 추가로 출산할 때마다 1명당 0.2% 우대 금리해줘요
: 우대금리뿐 아니라, 특례기간도 5년 더 연장됩니다.
3) 청약통장 가입기간에 따라 0.3%(5년), 0.4%(10년), 0.5%(15년) 우대금리 적용
4) 신규로 분양 받으면 0.1% 우대
5) 전자계약매매 0.1% 우대
만약, 연소득 8500만 원 이하 신생아특례대출 신청 자격이 되는 세대가 청약통장 12년, 신청 후 아이 한 명 더 나았고,
전자계약으로 매매 했다면
5년 특례금리 1.6%에서 우대 금리 0.4%, 0.2%까지 적용 하면 5년간 1%로 대출을 이용할 수 있게 되네요.
[신생아특례 전세자금대출]
전세자금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에 비해서 소득이나 자산 금액 등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1. 지원 자격 : 담보대출과 마찬가지로 대출신청일 기준으로 2년 이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
▷ 2023년 1월 1일 출생아부터 적용 가능합니다.
▷ 기존에 전세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3개월 이내에 대환대출 가능합니다.
2. 소득 조건 : 부부합산 연소득 1억 3000만 원 이하
3. 순자산 조건 : 부부합산 3억 4500만 원 이하
> 담보대출에 비해서 소득제한은 같고, 자산 조건은 약간 낮아요.
4. 대상주택
1) 주택가격 : 보증금 5억 이하 (수도권 아닌 지역은 4억 이하)
2) 주택 면적 : 전용면적 85㎡ 이하 (읍면 지역은 100㎡ 이하)
▷ 전용면적 기준이라서, 공급면적으로는 보통 32평 (38평내외) 내외입니다.
5. 대출 한도 : 최대 3억 원까지 가능
▷보증금의 80%가 최대 한도라서 보증금 3억이라고 전액 3억 대출 가능한게 아닙니다.
보증금 3억이면 2억4000이 최대한도요~
6. 대출 기간
: 기존 2년 계약기간 + 5회까지 연장 가능해서
최대 12년까지 기간 가능합니다.
▷ 전세계약이 끝나면 반드시 상환해야해요.
7. 대출 금리
: 임대차계약 기간 2년을 감안해서 특례금리는 4년만 인정됩니다.
1) 연소득 7500만 원 이하는 1.1~2.3%
2) 연소득 7500만 원 초과는 2.3~3.0%
▷ 4년이 지나면 특례금리가 종료되며, 최소 0.4%의 금리가 가산됩니다.
연소득 7500만 원이 초과되면 시중은행 금리를 따르는데, 최저를 적용해요.
8. 우대금리 : 4년간 특례금리가 종료된 후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1) 신청 자격은 2년 이내 출산 가정이지만, 기존 2년 초과된 자녀가 있으면 1명당 0.1% 우대 금리 해줍니다.
2) 신청 이후 추가로 출산할 때마다 1명당 0.2% 우대 금리해줘요
3) 전자계약으로 진행하면 0.1% 우대
[신생아특례대출 출산자녀 공통 조건]
주택담보대출이나 전세대출 모두 출산자녀 기준은 동일해요.
1. 출산해야만 자격이 가능하고, 태아는 해당되지 않아요.
2. 출산 후 2년 이내 세대
3. 2023년 1월1일 이후 출산한 자녀 있는 세대
4. 입양아도 포함됩니다.
5. 아직 혼인신고 이전이더라도 자녀 출산 기준만 갖추면 대출 가능합니다.
'부동산과 세금 > 부동산 정보와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사전점검 꼭 알아두어야 할것들 (4) | 2024.01.27 |
---|---|
대환대출 뜻과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모바일로 갈아타기, 주의사항 (0) | 2024.01.12 |
청약에서 이제는 특별공급도 소형저가주택 무주택 간주 (0) | 2023.11.13 |
공공분양주택 유형 종류와 청년 특공 자격과 당첨자 선정 방법 (0) | 2023.06.11 |
경매 배당순서에서 지방세보다 전세 보증금 우선 변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통과. 전세사기 피해 종합금융지원센터 (0) | 2023.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