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과 세금/절세를 위한 세금 공부5 상속세 세율과 상속세 개편안 알아보기 저는 몇 년전 1순위 상속인으로상속을 진행해봤어요. 큰 재산은 아니었지만, 부동산과 금전 등을다른 상속인들과 함께 나누더라도상속세는 전체 재산에 대해 연대 책임으로 내는거라고 해서내야할 세금이 있을 것 같았어요. 그당시 경황도 없고 지식도 없어서 그냥 세무사와 법무사가 내라는동의서와 서류들 다 내고 진행을 했는데,부채등이 있어서... 결국 내는 세금은 없었고 ㅋ법무사와 세무사 비용은 꽤 냈습니다. 지금 하라고 해도 부채 정리 등복잡한 것들도 있어서당연히 세무사 대리해서 신고하긴 할텐데, 조금이라도 지식을 갖고 있다면상속세 진행 과정이 좀 더 이해하기 편했을 것 같고부동산 등기 등을 제대로 했을것 같아요.며칠전 정부에서상속세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현재의 상속세율과 증여세 세율을 알아보고상속.. 2025. 3. 15. 증여세율과 혼인으로 인한 증여 공제금액 1억 원 오늘은, 증여세의 개념과 증여세 내지 않는 공제범위, 증여세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또 23년 세법개정안에서 발표된, 혼인으로 인한 증여 공제금액 완화에 대해서도 살펴볼게요. 증여세란 타인(증여자)으로부터 재산을 아무 대가없이 무상으로 (또는 현저히 낮은 대가를 받고 이전하는) 받은 재산에 대해서 그 재산을 증여받은 자(수증자)가 납부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 증여를 한 사람=증여자 * 증여를 받은 사람=수증자 * 증여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는 사람=수증자 * 증여재산의 유형별 취득시기 *증여세 신고기한 : 증여를 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월 이내 예를 들어, 증여를 8월1일에 했다면 8월 말의 3월 이내라서 11월30일까지 납부해야해요. *증여세는 10년간 증여한 모든 금액을.. 2023. 8. 6. 생애 최초 취득세 감면 조건, 감면 신청 서류와 절차 오늘은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취득세 감면 조건과 감면신청 할 때 제출해야 하는 서류와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또, 주택을 소유한 상태더라도 생애 최초로 인정해 주는 경우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조건]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에 해당되어야 하는데요. 주택 가격 조건은 있지만, 취득자의 소득 조건은 없습니다. 1. 주택 취득일에 본인 및 배우자가 생애최초로 12억 이하의 주택을 유상 거래로 취득해야 합니다. 2. 주택 취득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전입신고 하고 계속 거주해야 합니다. 3. 주택 취득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추가로 주택이나 주택의 부속 토지를 취득하면 안 됩니다. 4. 실거주 기간이 3년 미만 상태에.. 2023. 4. 19. 일시적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특례 종류와 조건 오늘은 주택을 일시적으로 2 주택이 되었을 때 양도소득세 비과세 해주는 종류와 조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시적 2 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특례란] 기존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2 주택이 된 경우, 기존 주택을 매도할 때 1 주택처럼 양도소득세를 비과세 해주는 것을 일시적 2 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라고 합니다. 매도해야 하는 기존주택은 그 자체로 비과세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건 기본입니다. ◆ 양도소득세 비과세 조건은 1) 조정지역일 때 취득했으면 2년 거주 2) 비조정지역일 때 취득했으면 2년 보유했어야 합니다. 이때, 취득할 때는 조정지역이고, 매도할 때는 비조정지역이더라도 2년 거주해야 합니다. 단, 2년 거주 조건은 2017년 8월 2일부터 생긴 조건이라서, 만약 매.. 2023. 4. 12. 부동산 거래할 때 내는 세금 중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 계산해보기, 양도소득세 세율 오늘은, 부동산을 거래할 때 내는 세금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주택의 양도소득세란 무엇인지, 양도소득세 계산의 흐름과 계산할 때 사용하는 양도소득세 세율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소득세란] 1. 양도소득세 개념 : 양도소득세란 개인이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나 주식 등과 파생상품을 양도 또는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해서 얻어지는 이익(소득)을 대상으로 해서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물건을 취득한 뒤에 양도할 때에 이익이 생겼을 때만 내는 세금이기 때문에, 취득할 때보다 이익이 없거나 아주 적은 경우에는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 중에서 특히 일반인들이 자주 접하게 되는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3. 2.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