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와 제품 맛집 리뷰/일상정보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탑승 전에 꼭 확인하기

by 유슬기 2025. 3. 2.
반응형

오늘은, 항공기 탑승전에 꼭 확인해야할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2025년 설 연휴때 에어부산 비행기에서 난 화재 원인으로

선반위에 놓여져 있던 보조배터리가 주목되었어요. 

 

자칫 대형 인명사로고 이어질뻔 했는데, 다행히 이륙 전에 조치가 취해져서 다행이었죠. 

그래도 비행기 동체는 완전 불에 타버린 큰 사고였습니다.

 

여행할때 필수품인 보조배터리지만, 그 위험성이 널리 알려졌기에

보조배터리에 대한 기내 반입에 대한 규정이 3월부터 강화 되었습니다. 

 

보조배터리에 대한 기내 반입여부와 허용 용량 및 규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존 규정]

현재, 국제적인 기준으로 보조배터리는

발화 및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항공기 화물칸에 두는 것이 금지됩니다. 

 

기본적으로, 반드시 보조배터리를 기내로 휴대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보조배터리 허용 용량 ]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용인하는 보조배터리 허용 용량과 개수는 다음과 같아요. 

  • 100Wh 이하: 별다른 승인 없이 기내 반입 가능 (예: 일반적인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 100Wh 초과 ~ 160Wh 이하: 항공사의 사전 승인 필요 (예: 일부 대용량 보조배터리 및 전문가용 배터리)
  • 160Wh 초과: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모두 금지

대부분의 보조배터리는 100Wh 이하이므로 문제없이 기내 반입이 가능하지만,

100Wh를 초과하는 경우 항공사에 문의 후 승인을 받아야 하고, 

한 사람당 일반적으로 최대 2~4개까지만 허용됩니다.

 

그런데, 이번 대형 사고 이후로 한국에서의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은 좀 더 세밀하게 강화되었습니다. 

3월부터 변경되는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알아볼게요. 

[낡은 나의 보조배터리]

[강화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1.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하나당 각각 한개의 개별로 비닐백에 담아야 합니다. 
  2. 단자(접촉 부분)가 금속 물질과 닿지 않도록 절연 테이프 등으로 보호해야 합니다.
  3. 보조배터리 선반 위 보관 금지
  4. 몸에 소지하거나 앞좌석 주머니에 넣어야 합니다.
  5. 보조배터리 충전도 금지 됩니다.
  6.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이 꺼진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7. 승무원의 요청이 있을 경우 협조하여야 하며, 배터리에서 이상 반응(발열, 부풀어 오름 등)이 감지되면 즉시 승무원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8. 보조배터리 허용 개수 : 최대 2~5개
  • 100Wh 이하: 최대 5개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최대 2개 (항공사의 사전 승인 필요)

 

: 최첨단 엑스레이로 보조 배터리 개수와 밀도를 적발하고 있다니

나와 다른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서 규정을 잘 지켜야겠습니다.

나라와 각 항공사의 규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강화된 규정을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할 것 같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