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식거래를 하다 보면 종종 듣게 되는 액면분할과 액면병합의 뜻과 각 상황에 대한 절차 및 관련 내용들을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액면이란?]
액면분할과 액면병합의 뜻을 알기 전에 액면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액면은 회사가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그 주권에 적힌 표면적인 가격으로 1주당 납입된 자본금액을 말하며 명목상 가치입니다.
실제 거래가격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 상장된 회사의 액면가는 5,000원 이하인 경우에는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500원, 5,000 원 중 하나여야 하며
- 5,000 원 초과인 경우에는 10,000 원의 정수배로 정해야 합니다.
-보통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는 5,000원 액면가가 많고 코스닥에는 500 원 액면가가 많습니다.
상법상 1주당 액면가는 100원이 가장 최하위 금액으로 100 원보다 낮게 책정할 수는 없습니다.
또, 기업은 액면가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주식을 판매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1주당 표면적 가치인 액면가는 평소 주식거래를 할 때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액면분할을 한다 또는 액면병합을 한다는 공시가 뜨면
해당 기업의 주식수와 주가가 변동을 겪게 되기 때문에
액면가에 대한 개념을 잘 알고 있다면 이해하고 대응하기가 수월해집니다.
[액면분할]
1. 액면분할 뜻
: 액면분할이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위에서 설명한 액면가를 나눈다는 의미입니다.
액면가를 낮춘 만큼 주식 수가 늘어나고 주가는 떨어지게 되는 거죠.
2. 액면분할 하는 이유
: 액면분할은 대체로 주가가 너무 높게 책정되어 있어서 일반 투자자들이 쉽게 매수하거나 매도하기가 어려운 경우 실행합니다.
주식수가 늘어나고 주가는 낮아짐으로써 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는 효과를 보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액면가 5,000 원에 주가는 250만 원이라면 투자자들이 손쉽게 거래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액면가 5,000 원을 액면가 100원으로 낮출경우
1주에 250만 원인 주식은
주식수는 1주가 50주로 늘어나고 주가는 1/50로 쪼개져서 5만 원이 됩니다.
이것이 바로 2018년에 단행했던 삼성전자 액면분할의 예시입니다.
위 그림의 빨간 네모 부분을 보면 액면가 1주당 100원이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 주가가 63,200 원이지만 액면분할 이전이나 액면가 5,000 원인 종목과 비교한다면 316만 원짜리 주식입니다.
주식거래의 원활함과 액면분할 이후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서 액면분할은 단시간에는 호재로 받아들여집니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매출이나 시가총액이 변경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엄청난 호재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단, 발전 가능성이 높은 종목이라서 액면분할을 하는 거라 이후 상승 여지는 있지만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곤 합니다.
3. 액면분할 과정
: 회사가 액면분할을 결정하면 전자공시에 공시를 해야 합니다.
보통 공시문을 보면, 다음 내용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예시로, 21년 액면분할을 공시한 한일시멘트 공시를 보겠습니다.
① 분할 전과 분할 후 비율 확인 : 1주당 액면가 5,000원이 500 원으로 1/10 줄어듭니다.
② 신주의 효력발생일 : 효력발생일은 21.09.10입니다.
③ 매매거래정지기간 : 21.09.08~21.09.10이라서 09.07까지는 매수를 마쳐야 했어요.
④ 신주권상장예정일 : 분할 후 첫 거래일입니다.
액면분할에 대해 이해가 갔다면 액면병합은 액면분할과 완전히 반대 개념으로 생각하면 쉽습니다.
[액면병합]
1. 액면병합 뜻
: 액면병합은 액면가를 합한다는 의미입니다.
액면가를 합치는 만큼 액면분할과 반대로 주식 수는 줄어들고, 주가는 올라가게 됩니다.
액면분할은 주가가 너무 오른 대형 기업에서 주로 진행하고, 액면병합은 주로 주가가 낮은 코스닥 기업에서 진행합니다.
2. 액면병합 하는 이유
: 액면병합을 하는 이유는 너무 낮은 주가가 저가 이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합니다. 또, 낮은 주가로 너무 많은 주식 수가 유통되면 주식 변동성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주가 방어 등이 어려운데 병합을 하게 되면 그런 부분도 좋은 효과를 주게 됩니다.
액면병합도 잠시동안 호재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종목에 따라서 주가 흐름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 원의 회사가 액면가 2,500 원으로 병합을 한다면
1주당 가격은 5배로 뛰게 되고, 주식수는 1/5로 줄어듭니다.
3. 액면병합 과정
: 회사가 액면병합에 대해서 전자공시를 합니다.
공시문을 볼 때 반드시 유념해서 봐야 할 내용은 위 액면분할과 같습니다.
① 병합 전과 병합 후의 비율 확인 : 1주당 액면가 얼마에서 얼마로 높아졌는지 확인
② 신주의 효력발생일 : 효력이 발생되는 날
③ 매매거래정지기간 : 이 기간 동안에는 주식거래를 할 수 없습니다.
④ 신주권상장예정일 : 이날에 병합된 주식이 계좌로 입고되고 거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액면분할이나 병합을 할 경우, 단수주는 현금으로 돌려줍니다.
주로 병합에서 발생하는데, 만약 1주당 거래가격 5,000 원인 액면가 500 원을 2,500원으로 할 경우,
56주를 갖고 있다면 주식수는 1/5로 줄어들어서 55주는 11주가 되고 주가는 1주당 25,000원이 됩니다.
남은 단수주 1주는 현금으로 돌려줍니다.
'주식 공부와 투자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진행 예정인 공모주 일정 (2) | 2023.04.01 |
---|---|
주식용어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의 뜻과 절차 차이점 (0) | 2023.04.01 |
주식 상장폐지 기준과 23년 3월 상장폐지 사유 발생한 기업 (2) | 2023.03.28 |
3월에 청약하는 공모주 종목의 일정_신청일, 환불일, 증권사 (0) | 2023.02.25 |
공개매수의 뜻과 특징, 청구 방법_SM, 오스템임플란트 공개매수 예시 (0)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