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군인 대상으로 혜택을 주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의 가입대상과 가입방법, 정부지원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대상]
장병내일준비적금은 현역으로 군생활을 하는 장병들에게 본인이 모은 원금 대비 높은 이자와 만기 때에 정부 지원금을 더해서 큰 목돈을 마련하게 해주는 적금입니다.
◆ 가입할 수 있는 대상은
1. 현역병, 상근예비역, 의무경찰, 해양의무경찰, 의무소방원, 사회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으로
2. 복무기간이 6개월 이상 남아 있어야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입대 후부터 가입 가능하기 때문에 입대예정통지서가 온 상태에서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방법]
◆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한도
: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총 2 은행에 가입 가능하며
한 은행당 한 달에 20만 원까지만 넣을 수 있는
자유적립식 금액입니다.
(한 달에 20만 원 이내로만 자유롭게 입금 가능하다는 의미로, 한 달에 10만 원 넣었다고 다음 달에 30만 원 넣지 못합니다.)
◆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방법은 총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훈련소에서 제휴된 은행에 가입하기
: 은행이 1곳이 될 수도 있고, 2곳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때 본인이 가입한 은행명과 계좌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2. 훈련소에서 또는 개인적으로 스마트폰으로 가입하기
: 모든 은행이 가입가능한 것이 아니고 점차 늘려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별도로 포스팅하겠습니다.)
3. 개인적으로 시간이 될 때 은행에 직접 방문해서 가입하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입자격확인서를 은행별로 원본 제출해야 합니다.
훈련소나 스마트폰 가입 시에는 가입자격확인서를 별도로 발급받지 않아서 되는데,
은행 직접 방문 가입 시에는 반드시 가입자격확인서와 신분증을 제출해야만 합니다.
3_1. 대리인 가입
:장병의 부모님만 대리가입이 가능합니다.
장병이 가입자격확인서를 부모님에게 보내줘야 합니다.
가입자격확인서, 대리인의 신분증과 가족관계확인서류는 필수서류고, 은행별로 추가 요구서류가 있을 수 있으니 가입하려는 은행에 방문 전에 별도 문의 하는 게 좋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가능 은행]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모든 금융기관에서 가입가능한 것이 아니고,
14개의 정해진 금융기관에서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은행별로 만기 때 주는 이율은 우대 조건 등에 따라서 아주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5% 이상의 높은 이자는 가입기간이 15개월 이상이면서 만기해지인 경우 줍니다.
정부지원금은 15개월 이상이 아니어도 만기 해지만 하면 주는데 정부 지원금이 훨씬 크기 때문에 혹시 늦게 가입했더라도 크게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 가입 가능 은행
: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수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우정사업본부(우체국)
[장병내일준비적금 만기해지와 정부지원금]
일명 매칭지원금이라고 하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의 가장 큰 혜택인 정부지원금은 반드시 만기 해지해야만 지급해 줍니다.
적금을 넣은 시기에 따라서 정부지원금 계산이 다릅니다.
1. 2022년에 입금한 원금+은행이자에 대해서는 33%를 지원해 줍니다.
2. 2023년에 입금한 원금+은행이자에 대해서는 71%를 지원해 줍니다.
3. 정부지원금 신청 방법 :
① 전역일이 만기해지일인데, 전역 후 은행에 방문해서 장병내일준비적금 만기해지를 합니다.
(신분증과 전역일이 포함된 서류 제출)
② 만기해지하면 당시까지 넣은 원금과 은행 이자는 바로 현금으로 받습니다.
③ 이때 본인이 소유한 자유입출금 계좌를 알려주면서 정부지원금을 신청합니다.
④ 분기별로 모아서 매 분기 다음 달 25일에 지원금을 주기 때문에 신청 날짜에 따라서 빠르면 한 달 안에 받기도 하지만 최대 3~4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4. 정부지원금 지급 금액 예시
① 2022년 넣은 원금이 40만 원씩 18개월 720만 원을 넣으면 33% 지원해서 237만 원 정도를 지원해서 은행이자 등을 합해 총 1003만 원을 받았습니다.
② 2023년 넣은 원금이 40만 원씩 18개월 720만 원을 똑같이 넣으면 71%인 511만 원 정도를 지원해서 은행이자 등을 합해총 1289만 원 정도를 받게 됩니다.
22년과 23년에 걸쳐서 적금을 넣은 경우에는, 22년에 넣은 금액에는 33%를 더하고,
23년에 넣은 금액에는 71%를 더하면 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주의사항]
1. 큰 혜택을 제대로 받으려면 조금이라도 빨리 가입해서 한 달도 빼지 않고 적금을 넣어서 만기해지 해야 합니다.
2. 훈련소에서 가입하는 것과 스마트폰 가입은 월급통장에서 먼저 적금을 공제하고 남은 금액이 월급으로 들어갑니다.
그래서, 첫 달에 제대로 적금이 들어가지 않기도 하고, 전역하는 달에는 아예 적금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본인들이 알아서 적금을 넣는 것이 조금이라도 더 많은 금액을 모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3. 은행에서 가입할 때는 해당 은행이나 월급통장에서 자동이체를 설정하는 것이 편리한데 이때도 가입하면서 입금하고 만기 날짜 이전에 직접 입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총 18개월을 채울 수 있는 횟수로)
4. 돈이 필요해서 적금을 중도에 해지하면 넣은 원금은 모두 받고 아주 약간의 이자는 줍니다.
군복무하면서 적금으로 목돈 모아 전역하길 바랍니다.
'유익한 금융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 입출금 횟수와 금액 제한 등 4월부터 강화 (0) | 2023.04.13 |
---|---|
장병내일준비적금 스마트폰으로 가입하는 방법 (0) | 2023.04.02 |
기획재정부 내수활성화 대책 지원과 혜택 등 정리 (0) | 2023.03.29 |
6주 만에 받은 애드센스 광고 승인 후기. 애드센스 광고 설정 방법 (0) | 2023.03.29 |
영유아에게 주는 부모급여 대상과 신청 방법 (0) | 2023.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