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와 투자 도전

주식 거래의 기초 용어 알아보기_주문, 예수금, 평가손익 등

by 유슬기 2023. 5. 3.
반응형

오늘은 주식 거래 할 때 처음 접하는 가장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해서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시작할 때 

매수는 주식을 사는 것이고

매도는 주식을 파는 거라는 것은 알고 시작합니다. 

[주식 주문 거래할 때의 용어]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것 외에도 주문 거래할 때 다양한 용어들이 있습니다. 

 

1. 정정/취소 : 매수나 매도 주문을 한 상태에서 수량과 가격을 변경시키고자 할 때 

2. 가능 또는 매도가능 : 본인이 보유한 주식 중에서 매도 주문 가능한 수량

   > 전체 보유한 수량을 매도하고자 할 때 수량을 직접 입력하기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훨씬 빠르고 편리합니다. 

     주식 거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일 때 유용하죠. 

3. 호가 : 원하는 매수 가격이나 매도 가격이에요. 

4. 지정가 : 원하는 매수 가격이나 매도 가격을 직접 입력한 값으로 여러 개의 지정가가 호가로 쌓이게 됩니다. 

5. 시장가 : 주식 거래 시자에서 자동으로 무조건 체결되는 가격으로 지정가를 입력하기 어려울 만큼 빠르게 호가가 형성되고 있을 때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주식 기초 용어 1]

1. 현재가 :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

2. 기준가 : 하루 전 거래일의 종가

3. 시가 : 시작하는 가격으로 시. 또는 시초가라고도 함

4. 고가 : 거래하는 중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

5. 저가 : 거래하는 중 가장 낮게 거래된 가격

6. 상한가 : 당일 거래에서 기준가 대비 최대로 오를 수 있는 가격 (+30%)

7. 하한가 : 당일 거래에서 기준가 대비 최대로 내릴 수 있는 가격 (-30%)

8. 52주 (고) : 현재로부터 영업 거래일 52주 중에서 가장 높은 가격

9. 52주 (저) : 현재로부터 영업 거래일 52주 중에서 가장 낮은 가격

                    >52주 영업일은 1년을 의미합니다. 

10. 종가 : 당일 주식 거래의 마지막 가격 (오후 3:30 가격)

반응형

[주식 기초 용어 2]

: 내 계좌의 잔고나 자산평가에 들어가면 주로 나오는 내용입니다.

1. 잔고 : 주식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종목 이름과 수량

2. 예수금 : 주식 주문이나 출금 가능한 금액

    단, 주식을 매도한 금액으로 다른 주식을 매수할 수는 있지만,

         거래 2 영업일 이후에 결제되기 때문에

         매도한 금액을 인출하려면 2 영업일 이후에 가능합니다.

         그래서, 현금 인출 금액은

         주식 거래에 따라서 날짜별로 금액이 변동됩니다.

    1) 출금가능금액 : 현재 출금할 수 있는 금액

    2) D+1 : 1 영업일 후에 출금할 수 있는 금액

    3) D+2 : 2 영업일 후에 출금할 수 있는 금액

3. 평가손익 : 현재가로 매도할 경우 이익이나 손해 금액

4. 수익률 : 현재가로 매도할 경우 수익률 퍼센티지

5. 평가금액 : 총 매입금액

 

[VI 변동성완화장치]

 

VI는 volatility interruption의 약자로, 변동성완화장치라고 합니다. 

개별 종목의 주가가 직전 체결가 또는 전날 종가의 일정 수준을 넘어서 변동성이 큰 경우에는 2분간 실시간 매매가 정지되고 단일가 매매로 전환해서 주가의 급변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제도입니다. 

 

VI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정적 VI : 전날 종가 대비 10% 이상 오르거나 내려서 급변이 일어날 경우 발동됩니다. 

2) 동적 VI : 당일 직전 체결 가격 기준으로 2~3% 이상 주가 변동이 일어날 경우 발동됩니다. 

 

정적 VI는 장기적인 가격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고,

동적 VI는 호가에 의한 단기간의 가격 급변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라서

변동성 완화 장치라고 하죠. 

 


주식 거래 용어들은 증권사 따라서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