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와 투자 도전

스팩주의 개념과 특징/ 스팩주와 일반 공모주와의 차이점 파헤치기

by 유슬기 2023. 2. 20.
반응형

오늘은, 공모주 중에서 스팩주란 무엇인지 그 개념을 알아보고, 스팩 공모주와 일반 공모주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팩주의 개념]

최근, 상장되는 공모주가 따상을 기록하면서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스팩 공모주에 대한 관심도 높은 상황입니다. 스팩주가 어떤 공모주를 말하는 것인지 전혀 알지 못하면서 다른 공모주와 같겠지라고 생각하고 신청하면 자칫 생각과 다른 주가 흐름에 당황할 수도 있습니다. 

1. 스팩주의 개념

'스팩'이라는 것은 'SPAC'의 약어입니다. 

풀어보면,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로 '기업인수목적회사'입니다. 

즉, 기업을 인수하기 위한 서류상의 회사로 일명 '페이퍼 컴퍼니' 입니다. 

스팩주는 오직 기업의 인수합병 (M&A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을 텐데요.)만이 목적으로, 증권사가 신주를 발행해 공모자금을 모아서 주식시장에 우선 ‘신규상장’ 한 후 3년 이내에 비상장기업이나 코넥스 상장기업을 인수·합병해야 합니다. 

 

2. 스팩주이름

보통 스팩주 이름은 '증권회사이름+호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02.20~02.21 사이에 신청하는 삼성스팩 8호의 정식 명칭은 '삼성 기업인수 목적 8호'인데, 줄여서 그냥 스팩이라고 하죠. 

 

3. 스팩주의 기능

스팩주가 기업의 인수합병만을 위한 페이퍼컴퍼니라고 했으니 스팩주가 하는 일은 당연히 기존에 있는 기업 중에서 아직 상장되지 않은 기업을 인수하기도 하고, 이미 상장된 기업과 상장되지 않은 기업끼리 합병해서 미상장된 기업을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공모주의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공모주 신청부터 심사, 수요예측, 청약, 상장까지 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당히 까다로운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스팩주가 이미 상장되어서 적절한 기업의 인수합병을 성공시킨다면 까다로운 상장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장을 하는 효과를 보게 됩니다. 

[스팩주 과정]

4. 스팩주가 36개월 안에 인수합병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 이때는 공모할 때 약정한 이자와 원금을 모두 투자자에게 돌려줍니다. 

주의할 점은, 36개월 후에 스팩주를 소유한 모든 투자자들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처음 공모로 받아서 3년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에게만 주는 것입니다. 공모로 소유하고 있는 투자자는 몇% 정도의 이자 받는 예금 개념으로 생각하고 있으면 원금 손실은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럼, 3년 만기 예금과 같은 성격인데, 주가는 얼마나 오를까요? 

 

5. 스팩주의 주가

현재 상장되어 있는 스팩주 몇 종목의 주가를 볼게요. 

삼성스팩은 최근 공모가 10,000원이지만 다른 대부분의 스팩주 공모가는 2,000원입니다. 

보면 알다시피 주가의 흐름은 아주 지지부진 그 자체입니다.

왜냐면? 주가 상승이 주목적이 아니라 3년 만기 예금 성격이니까요. 

삼성스팩 7호는 최근 신청하는 삼성스팩8호처럼 공모가 10,000원이었습니다.

상장일에는 18,000원까지도 치솟았다가 계속 하향세입니다. 물론, 주식 시장이 좋지 않았던 기간이라서 다른 공모주들은 물론 일반 주식들의 흐름도 좋지 않던 시기였습니다. 


이 정도 보니, 스팩주가 어떤 공모주인지 그 성격은 제대로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들어요^^

스팩주의 개념과 그 특징들 자체가 사실 일반 공모주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리하는 차원에서 일반 공모주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몇 가지 더 추가해서 나열해 볼게요.

 

[스팩주와 일반 공모주와의 차이점]

1. 일반 공모주는 수요예측결과에 따라서 공모가를 확정하지만, 스팩주는 이미 공모 가격을 확정한 상태에서 수요예측결과를 합니다. 그래서, 

2. 스팩주의 수요예측결과는 크게 중요한 정도가 아니었는데, 공모주 전체가 상승기일 때는 유례없이 스팩주의 수요예측결과도 아주 높게 나옵니다. 

3. 스팩주의 주가 흐름은 전반적으로 등락이 제한적이라서 이익이나 손해도 크게 보지 않는 성격인데, 인수합병이 어느 정도 가시화 되는 경우에는 상한가를 치면서 급 상승 하기도 합니다.  

4. 현재 많은 수의 스팩주들이 상장되어 있어서 기업 인수 합병에 대한 경쟁도 치열한 상태입니다. 

5. 인기 있는 스팩주는 상장일에 상한가를 치거나 높은 가격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매수를 이어가면서 투자할 정도인지는 고민해 보고 들어가야 합니다. 


최근 삼성스팩8호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서 스팩주란 어떤 것인지 개념과 특징, 일반공모주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투자하는 분들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